앱테크 캐시워크 토스퀴즈 '주화 재테크' 카테고리의 글 목록 (12 Page)
경제적 자유를 위하여

모두가 부자가 될수 없습니다. 그러나 당신은 됩니다..

반응형

주화 재테크 217

[한국] 조선 말기 을유년 시주화 태극 휘장 시리즈(1885~1888)

화수분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주화는 거의 전설의 주화라고 할 수있죠.. 실제 실물을 본 사람도 거의 없을뿐더라 박물관이나 가야 볼 수 있는 주화들입니다. 조선 최초의 근대적인 화폐였으나 당시 풍전등화와 같았던 조선의 운명과 같이 널리 쓰이지 못한 불운의 주화라고 할수도 있습니다.. 상평통보로 대표되던 조선의 화폐는 가치가 불안정하고 운송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유통량도 부족해 외국과의 무역거래에 상당한 애로점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에 조정은 선진국의 화폐제도를 참고하여 근대적 화폐제도를 도입하였고, 이 에따라 1883년에 최초의 근대적 조폐기관인 전환국을 설립하여 신식 화폐 주조 계획을 추진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설립된 전환국에선 이듬해인 1885년(을유년), 1량 은화와 5문 주석 시주화가 만들..

[한국] 조선 닷량

화수분입니다. 드뎌 닷량의 소개입니다.. 현재 소장하고 있지 않아 소개를 망설였지만 역시 한국의 대표 무역은화라 그냥 지날칠수는 없겠죠.. 현재는 매년 어마어마한 몸값을 자랑하며 고공상승중인 핫한 아이라고 할 수 있답니다. 전 세계의 주화 수집세계에서 그나마 한국의 근대 주화 대표 로서 맹위를 떨쳐 주고 있다고 할수 있답니다... 너무 몸값이 올라 제 수집과는 점점 멀어져 씁쓸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자랑스럽네요 ...^^ 1892년 5월 당시 조정은 일본에서 주화용 원료운반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천으로 전환국을 이전하였으며 일본과의 신식화폐 주조방법의 협정에 따라 전환국은 설립 초부터 일본의 강한 영향력을 받고 있었다고 합니다..요직을 일본인이 맡은 가운데 닷량은화와 한량은화, 두돈오푼 백동화, 오푼..

[한국] 지폐 오천원 연결권 천원연결권 추첨결과

오늘 조폐공사 지폐 연결권 추첨 결과 발표가 있었네요.. 저는 주 테마가 동전이라 아래와 같이 소장용으로 각각 2개씩 신청을 했는데 5천원권은 1개가 탈락했네요... 이야기를 들어보니 천원권은 미달이었고 오천원권은 1.1대1 이었다고 하네요... 생각보다 경쟁률이 저조했던거 같아요.... 그래도 오천원 연결권은 첫 발매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가치는 우상향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럴줄 알았으면 한곳에 2개씩 신청하는 건데 ..나름 분산 시킨다고 1개씩 신청했는데 운송료만 더 들어갔네요 ...헐~~ 그나 저나 이거 어떻게 보관해야 할지 고민이네요... 누구 말대로 표구를 해서 거실 벽에다 걸어놔야 하나.....^^

[일본] 사쓰에이 전쟁 (薩英戰爭) 살영전쟁 (2)

화수분입니다.. 유구통화 주화로 시작했는데 여기까지 와버렸네요 ..이왕온거 끝까지 파헤쳐 봅니다.. 영국은 자국민이 살해된 나마무기 사건에 대한 책임과 피해 보상을 일본 막부정부에 요구하기에 이르렀고 막부는 사쓰마번 대신 배상금을 물어주었으나 살해자를 인도 받는 것에는 사쓰마번의 거부로 인하여 실패하게 됩니다..이에 영국정부는 막부가 실세가 아님을 인지하고 곧바로 사쓰마번을 응징하기로 결정합니다.. 막부의 무능함이 여실히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1863년 8월 11일, 영국 군함 7척은 사쓰마번을 응징하고 나마무기 사건에 대한 사쓰만 번의 추가 배상을 받기 위해 가고시마 해안으로 출격했습니다..사쓰마번은 나마무기 사건 이후 영국이 보복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사쓰마번은 긴장하며 해안 포대를 정비하면서 ..

[일본] 사쓰마번 (薩摩藩) 과 유구통보 .....나마무기 (生麦)사건 (1)

화수분입니다. 이번에 일본이 역사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물론 화폐하고도 관계가 있습니다.여러분 왜 일본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달리 서구열강의 식민지화가 되지 않았을까요 ? 한가지 중요한 사건으로 인하여 일본의 조선이나 청과 달리 서구열강의 식민지화의 길로 가지 않게 됩니다. 일본의 특유의 통치제도 인하여 천황은 있지만 형식적인 존재 였고 실재 통치는 유력한 번주중 하나가 통치를 하는 막부체제의 국가였습니다.. 예전 주나라의 봉건제도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임진왜란 이후 일본의 막부체제도 큰 변화를 겪게 됩니다. 기존 토요토미 히데요시에서 도쿠가와 막부로 변환을 하게 됩니다. .결국 도카가와 막부에 의해 천하는 통일되었지만 지방은 여전히 각 번의 번주(다이묘)에 의해 통치를 받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