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테크 캐시워크 토스퀴즈 [한국의 역사] 청일 전쟁 (1894년)
경제적 자유를 위하여

모두가 부자가 될수 없습니다. 그러나 당신은 됩니다..

그림으로 보는 역사 이야기

[한국의 역사] 청일 전쟁 (1894년)

화 수 분 2021. 11. 30. 08:45
반응형

화수분입니다. 

오늘은 조선의 운명을 바꾼 갑오개혁과 청일전쟁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 보겠습니다.

갑신정변(1884년)에서 조선을 개혁하고자 했던 일본은 청의 개입으로 일단 물러나게 되면서 개혁파 정권은 그들만의 3일천하로 마무리되게 되었습니다. 이에 주동자들은 모두 잡혀 처형되었거나 죽을때까지 외국으로 망명생활을 이어나가야 했다고 합니다.  일본은 갑신정변의 실패로 인하여 정한론이 다시 대두가 되게 됩니다..지금까지는 동아시아 국가들을 개화시켜 함께 서양열강에 맞서자가 일본의 주목적이었으나 갑신정변이 실패로 정한론을 필두로 조선을 보호국화 시켜 강제 개화 시켜야 하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게 됩니다....

갑신정변의 주역들

갑신정변 이후 10년이 지난 1894년 조선은 동학농민운동으로 인하여 큰 혼란을 겪게 되고 조선조정은 동학농민군에게 연전연패를 당하자 청나라에게 지원병을 요청하여 청군이 6월6일부터 아산만에 상륙하자 일본군은 이에 대응하여 공관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이틀후 제물포에 상륙했습니다. 일본군이 재빨리 대응할 수 있었던 건 톈진조약(1885년)에 따라 양군이 파병시 사전통보해야한다는 규정도 있었지만 공사관이 그전부터 조선정부가 청나라에 도움을 청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점이 컸습니다.

청군의 경우 어차피 조선의 종주국이기도 했고, 위치상 단지 농민군을 진압할 의도로 상륙한 것이라 볼 수 있는 반면, 일본은 파병규모가 청군의 4배에 달했다는 것만 봐도 공관보호가 아닌 조선을 장악하기 위한 의도가 다분했음을 알 수 있죠. 이무렵 조선정부와 동학농민군이 전주화약을 체결하여 조정은 더 이상 외국군대가 주둔할 명분이 없으니 양군에 철병을 요청했지만 이미 사태를 되돌릴 수 없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청일전쟁

한성에 주둔한 일본군은 노골적으로 내정간섭을 하더니 7월23일에는 마침내 경복궁을 점령했으며 개화파관료들을 중심으로 한 군국기무처가 설치되어 갑오개혁이 시작되었는데 이때 이루어진 개혁들을 보면 신분제타파, 청과의 사대관계 혁파 등 꼭 필요했던 부분이긴 하엿지만  일본의 압박에 의해서 실행되었다는 점에서 태생적인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25일에 일본군은 아산만의 청함대를 기습공격(풍도해전) 하여 청일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함으로써 1895년 4월17일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어 일본은 청나라로부터 요동반도와 대만을 확보했고, 조선이 청의 속방이 아닌 「자주독립국」임을 인정받았는데 물론 일본이 청을 대신하여 조선을 장악할 불순한 의도가 있었습니다.

참고로 시모노셰키는 예전 일본의 존왕양이의 중심지 조슈번의 중심도시이기도 합니다. 현재 일본 우익 아베신조 전 총리이 정치적 고향이기도 하지요 ...

< 시모노셰키 조약 >

 청국은 조선국이 완전한 자주독립국임을 인정한다,

 청국은 랴오둥반도[遼東半島]와 타이완[臺灣] 및 펑후섬[澎湖島] 등을 일본에 할양한다,

 청국은 일본에 배상금 2억 냥을 지불한다,

 청국의 사스[沙市] ·충칭[重慶] ·쑤저우[蘇州] ·항저우[杭州]의 개항과 일본 선박의 양쯔강[揚子江] 및 그 부속 하천의 자유통항 용인, 그리고 일본인의 거주 ·영업 ·무역의 자유를 승인할 것 등이었습니다..

그런데 러시아, 프랑스, 독일 3개국이 "일본이 요동반도를 차지하면 시모노세키조약에서 명시한 조선의 독립이 위태로워진다." 고하여 요동반도를 도로 뱉어날 것을 요구했는데(삼국간섭) , 부동항을 갈망하여 이곳을 탐냈던 러시아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었습니다. 3국간섭에 당해낼 수 없었던 일본은 결국 요동반도를 청에 반환했으며, 조선내 일본의 영향력이 감퇴하기 시작했는데, 일본은 그 배후에 러시아를 끌어들인 명성황후에게 있다고 판단하여 그녀를 시해하였고(을미사변). 이후 두려움을 느낀 고종은 1896년 2월11일 경복궁을 떠나 러시아대사관으로 도망쳤습니다(아관파천).

프랑스 외신에서 전한 을미사변

 

반응형